![[컴퓨터 구조 ①]컴퓨터가 정보를 표현하고 저장하는 방식](https://image.inblog.dev?url=https%3A%2F%2Finblog.ai%2Fapi%2Fog%3Ftitle%3D%255B%25EC%25BB%25B4%25ED%2593%25A8%25ED%2584%25B0%2520%25EA%25B5%25AC%25EC%25A1%25B0%2520%25E2%2591%25A0%255D%25EC%25BB%25B4%25ED%2593%25A8%25ED%2584%25B0%25EA%25B0%2580%2520%25EC%25A0%2595%25EB%25B3%25B4%25EB%25A5%25BC%2520%25ED%2591%259C%25ED%2598%2584%25ED%2595%2598%25EA%25B3%25A0%2520%25EC%25A0%2580%25EC%259E%25A5%25ED%2595%2598%25EB%258A%2594%2520%25EB%25B0%25A9%25EC%258B%259D%26logoUrl%3Dhttps%253A%252F%252Finblog.ai%252Finblog_logo.png%26blogTitle%3DRN%2520%25EC%2582%25BD%25EC%25A7%2588%2520%25EC%259D%25BC%25EC%25A7%2580&w=2048&q=75)
1. 2진수와 비트
컴퓨터는 모든 정보를 이진법(binary)으로 처리한다. 이는 컴퓨터 내부가 전기적 신호의 유무(켜짐: 1, 꺼짐: 0)로 구성되기 때문이다.
주요 개념:
비트(Bit): 정보의 최소 단위. 1비트는 0 또는 1 중 하나의 값을 가짐.
바이트(Byte): 8비트로 구성되어 문자, 숫자 등을 저장하는 기본 단위.
2진수 ↔ 10진수 변환:
2진수
1101
은 10진수로1×2³ + 1×2² + 0×2¹ + 1×2⁰ = 13
.
기본 연산:
AND: 둘 다 1일 때만 1 →
1 AND 1 = 1
,1 AND 0 = 0
OR: 둘 중 하나라도 1이면 1 →
1 OR 0 = 1
XOR: 다르면 1 →
1 XOR 0 = 1
,1 XOR 1 = 0
NOT: 반전 →
NOT 1 = 0
2의 보수 표현법:
음수를 표현할 때 사용. 예:
-5
는~5 + 1
= 2의 보수.장점: 덧셈 하나로 뺄셈도 처리 가능.
2. 컴퓨터의 저장 원리
컴퓨터는 데이터를 임시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한다. 이 저장은 하드웨어의 물리적 특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.
주요 저장 기술:
플립플롭(Flip-Flop): 1비트 정보를 기억하는 전자 회로. 기본적인 기억소자.
레지스터: CPU 내부에서 빠른 속도로 데이터를 저장/처리. 보통 32비트 또는 64비트.
RAM (Random Access Memory):
휘발성 메모리로, 전원이 꺼지면 데이터 사라짐.
각 주소에 데이터를 임의 접근(Random Access) 가능.
ROM (Read-Only Memory):
비휘발성. 부팅 시 필요한 BIOS, 펌웨어 등을 저장.
보조 저장장치:
HDD: 자기 디스크 사용. 저렴하고 대용량 가능.
SSD: 플래시 메모리 기반. 속도가 빠름.
캐시 메모리:
CPU와 RAM 사이에 위치. 자주 쓰이는 데이터 저장으로 성능 향상.
L1, L2, L3 등 계층 구조 존재.
3. 정보의 숫자 단위
컴퓨터는 정보를 양으로도 다룬다. 이 때 사용하는 단위들이 명확히 정의되어 있다.
기본 단위 체계:
1 bit: 0 또는 1 중 하나.
1 Byte = 8 bits
1 Kilobyte (KB) = 1024 Bytes
1 Megabyte (MB) = 1024 KB = 2²⁰ Bytes
1 Gigabyte (GB) = 1024 MB
1 Terabyte (TB) = 1024 GB
단위 사용 예시:
텍스트 파일: 1KB ~ 수백 KB
MP3 음악: 3MB ~ 10MB
Full HD 영화: 수 GB
4K 영상: 수십 GB 이상
단위 표기 이슈:
운영체제는 보통 이진 단위 사용 (1KB = 1024B)
제조업체는 SI 단위 사용 (1KB = 1000B), 그래서 디스크 용량이 작아 보일 수 있음